[중앙일보]15년 집념…일본에 있던 고려 나전합 들고 돌아왔다
Link
Contents
15년 집념…일본에 있던 고려 나전합 들고 돌아왔다
“15년 전 일본 소장자의 갤러리에서 처음 본 순간 반했다. 정교한 이음새와 화려한 무늬가 한 치 흐트러짐이 없었다. 한눈에 문화재 보물급이란 걸 알 수 있었다. 꼭 가져오고 싶었는데 이제야 소원을 이뤘다.”
보물급 나전칠기…세계 3점뿐
최응천 이사장 끈질긴 협상 쾌거
학부 때 불교미술(공예)을 전공한 최 이사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팀장 시절부터 이 문제에 매달렸다. 전 세계에 단 20여점이 전해지는 고려 나전칠기가 한국 문화유산의 높은 수준과 긍지를 보여줄 수 있다는 확신에서다. 그나마 완전한 형태는 15점. 그중 4점이 도쿄박물관에 있다는 걸 알고 2005년 보름 동안 연구 교류를 자청해 일본에 갔다.
이번에 환수한 나전합을 만난 것도 이 무렵 일본 전역의 고려 나전칠기 현황을 조사하면서다. 이를 포함한 10여점을 일본에서 빌려와 이듬해 국립중앙박물관 ‘천년의 빛-나전칠기’전에 선보였다. 우리 나전칠기 역사를 한자리에 모은 전시는 화제가 됐지만 이후 유물을 돌려보내는 마음이 편치 않았다.
![12세기에 제작돼 온전한 형태로는 전 세계 3점만 전해지는 고려 나전합 중 일본에 있던 1점이 우리 품으로 돌아와 2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사진 문화재청]](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f92da495-f9b5-4f64-b570-6582f87762d6.jpg)
12세기에 제작돼 온전한 형태로는 전 세계 3점만 전해지는 고려 나전합 중 일본에 있던 1점이 우리 품으로 돌아와 2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사진 문화재청]
재단은 2018년 소장자와 협상을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운명처럼” 그가 이사장으로 부임했다. 다시 만난 소장자는 그에 대한 신뢰로 결단을 내렸다. “고려의 것이니 한국에 돌아가야 한다.” 언제 어떻게 이 땅을 떠났을지 모를 작은 합은 이렇게 올 초 돌아왔다.
정식 명칭은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이다. 10㎝ 남짓한 길이에 무게는 불과 50g. 국화 꽃잎과 넝쿨무늬가 함 둘레를 수놓듯 새겨져 있다. 영롱하게 빛나는 전복패, 온화한 색감의 대모(바다거북 등껍질), 금속선을 이용한 치밀한 장식 등 고려 전성기 기법이 고스란히 반영된 수작으로 평가된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이번처럼 온전하고 아름다운 유물이 돌아온 것은 독보적 사례”라고 말했다.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공개 행사 장면. [사진 문화재청]](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a62d3b17-25c9-4f3d-b86b-af67263e855d.jpg)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공개 행사 장면. [사진 문화재청]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공개 행사에서 최응천 국외소재문화재단 이사장(오른쪽)이 돌아온 합을 유심히 들여다보고 있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과 정재숙 문화재청장(가운데)도 함께 했다. [사진 문화재청]](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7/03/4339f8fb-1d51-4c26-85bb-8ba570453d88.jpg)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공개 행사에서 최응천 국외소재문화재단 이사장(오른쪽)이 돌아온 합을 유심히 들여다보고 있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과 정재숙 문화재청장(가운데)도 함께 했다. [사진 문화재청]
고려 나전합은 커다란 원형 합(모자합·母子盒) 속에 5개의 작은 합(자합·子盒)이 들어있는 형태로 가운데 꽃 모양 합을 송엽형 자합 4개가 둘러싼 모습인데 현재 완전체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번에 환수한 나전합은 송엽형 자합 4개 중 하나이자 12세기 제작된 화장용 상자의 일부로 추정된다.1000년 가까운 세월에도 정갈한 이음새 그대로다. 재단의 김동현 유통조사부장은 “일부 미세하게 빠진 부분도 후대의 보수가 없어 고려 기법을 원형대로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로써 국내 온전한 형태의 고려 나전칠기 유물은 보물 1975호 나전경함(불교 경전을 보관하기 위한 함) 등 모두 3점이 됐다. 나전경함은 2014년 국립중앙박물관회가 일본에서 사들여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이번에 돌아온 나전합도 이곳에 소장된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올 하반기 특별전 ‘고대의 빛깔, 옻칠’을 통해 국민들께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2020. 07. 03 개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