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end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Home
  • News
  • Report

Report

[한겨레]국내 한점도 없던 국보급 나전함 일본서 돌아왔다

Date
14-07-15 14:07
Hit
1,072
Contents
국내 한점도 없던 국보급 나전함 일본서 돌아왔다
\"하니Only\"
\"\"
나전경함의 화려한 당초무늬

국내에는 한점도 없었던 고려시대의 국보급 나전함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5일 긴급기자간담회를 열어 고려 시대 최고의 공예명품으로 꼽히는 나전경함(螺鈿經函)을 최근 국립중앙박물관회(회장 김정태)로부터 기증받았다고 발표했다. 경함은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번에 기증된 경함은 고려 후기 것으로 추정되며 역대 박물관 기증품 가운데 단일 유물로는 가장 가치가 뛰어난 것중 하나로 꼽히는 명품이라고 박물관 쪽은 소개했다. 나전경함은 이번 기증본을 포함해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 9점만 소장돼 있으며 그동안 국내에는 전하는 유물이 없었다.박물관회가 일본 교토의 유명 골동상한테서 20억여원의 자체 기금으로 사들였으며, 5월 국내로 들여와 최근 박물관에 기증했다고 한다.

이 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 무게는 2.53kg의 장방형 상자 형태다. 모란과 당초, 마잎, 거북이, 연속되는 원 등의 다양하고 정교한 무늬로 장식돼 있으며 뚜껑 윗부분 각 모서리를 모죽임처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장식된 당초무늬 줄기는 0.3mm두께 안팎의 금속 단선을 써서 묘사하고, 무늬와 무늬를 경계짓는 선은 2개를 하나로 꼬아 엮은 선을 쓰는 등 극히 정교한 기법을 사용했다. 얇게 갈아낸 자개조각들을 일일이 무늬대로 오려낸 줄음질 기법과 자개를 가늘게 잘라 무늬를 표현하는 끊음질 기법 등도 보인다. 박물관 쪽은 “고려나전칠기 공예의 전형적인 특징을 두루 갖춘 명품으로 가장 뛰어난 제작 수준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며 “일본 기타무라 미술관에 소장된 일본중요문화재 지정품인 고려 나전경함과 크기, 무늬 종류 등에서 거의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
나전경함 앞면의 모습
나전칠기 공예는 청자, 불화와 더불어 고려를 대표하는 공예장르지만, 전하는 유물은 매우 적다. 국내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나전대모로 만든 불교용구인 불자 한점만 전한다. 과거 열린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천년을 이어 온 빛, 나전칠기’(2006)와 호암미술관 특별전 ‘대고려국보전’(1995)에서 국외 소장된 극소수 명품들을 대여해 한시적으로 선보인 바 있지만, 일반 관객들이 감상할 기회는 거의 없었다. 박물관 쪽은 “이번에 돌아온 나전경함은 일본에서도 최근에 알려졌고, 보존상태도 좋은 최고 명품”이라며 “국보급 고려 문화재의 국내 환수 사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기사등록 : 2014-07-15 오전 10:53:20 news_timeline.gif\" 기사수정 : 2014-07-15 오전 11:4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