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end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Home
  • News
  • Report

Report

[뉴시스]아름다움과 공예미의 극치,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나전경함' 공개

Date
14-07-15 15:07
Hit
1,021
Contents
아름다움과 공예미의 극치,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나전경함\' 공개
기사등록 일시 : [2014-07-15 15:00:03]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 부터 기증받은 국보급 문화재 \'고려 나전경함\'을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주며, 각 면의 모서리도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2014.07.15. bjko@newsis.com 2014-07-15
【서울=뉴시스】유상우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고려 시대 공예예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국보급 문화재인 고려 나전경함(螺鈿經函)을 15일 공개했다.

국립중앙박물관회에서 기증받은 이 경함은 일본에서도 최근에 알려진 것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고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을 대표하는 공예품이다. 고려 시대는 물론, 지금까지도 뛰어난 공예 기술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며 남아 있는 고려 나전칠기는 세계적으로 10여점 정도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나전대모불자(螺鈿玳瑁拂子) 한 점 만이 전해진다. 현존하는 나전경함은 모두 8점으로 일본과 미국, 유럽 등의 박물관이나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나전경함은 2013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회 컬렉션위원회가 여러 번 일본 현지 방문조사를 하고 올해 국립중앙박물관과의 공동 확인을 거쳐 구매, 최근 기증하게 됐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 부터 기증받은 국보급 문화재 \'고려 나전경함\'을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주며, 각 면의 모서리도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2014.07.15. bjko@newsis.com 2014-07-15

경함은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용도로 제작된 것이다. 1231년 몽골의 침략으로 고려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대장경을 만들고 이에 따라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경함이 대량으로 제작됐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원종 13년(1272)에 경함 제작을 담당하는 관청인 ‘전함조성도감(鈿函造成都監)’이 설치됐다는 ‘고려사’의 기록도 이 시기 나전경함의 대량 제작을 뒷받침하고 있다.

박물관은 이번 경함이 높이 22.6㎝, 폭 41.9×20.0㎝의 크기로 무게는 2.53㎏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박물관 측은 “이러한 형태의 함은 고려 시대 불화에서도 발견된다. 또 각 면의 모서리도 날카롭게 각이 진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나전경함을 장식한 주무늬는 모란당초무늬(牡丹唐草文)다. 부수적으로 마엽무늬(麻葉文), 귀갑무늬(龜甲文), 연주무늬(連珠文)가 사용됐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 부터 기증받은 국보급 문화재 \'고려 나전경함\'을 공개한 가운데 참석자들이 나전경함을 살펴보고 있다. (왼쪽부터)김정태 국립중앙박물관회 회장, 김영나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신성수 국립중앙박물관회 컬렉션 위원회 위원장. 이번에 공개되는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주며, 각 면의 모서리도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2014.07.15. bjko@newsis.com 2014-07-15

고려 나전경함 중 모란당초무늬가 사용된 경함은 일본 기타무라미술관(北村美術館)에 소장된 작품이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경함은 크기, 무늬의 종류와 배치 등이 기타무라미술관 소장품과 거의 일치한다.

나머지 6점의 나전경함은 국화무늬를 주무늬로 사용하고 크기가 약간 크다는 차이점이 있다.

국화당초무늬가 장식된 나전 경함은 잎의 모양이 C자형이나 이 나전경함은 C자형과 함께 C자형 잎에서 또 하나의 가지가 나온듯한 삼지(三枝) 형태로 표현됐다. 마엽무늬나 귀갑무늬는 각 면의 상·하단을 장식하고 있는데 현재는 후대의 보수로 칠로 덮여 맨눈으로 쉽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기법상으로는 얇게 갈아낸 자개를 일일이 무늬대로 오려낸 줄음질 기법이 이용됐다. 마엽무늬와 귀갑무늬는 자개를 가늘게 잘라내어 무늬를 표현하는 끊음질 기법도 보인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 부터 기증받은 국보급 문화재 \'고려 나전경함\'을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주며, 각 면의 모서리도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2014.07.15. bjko@newsis.com 2014-07-15

이와 함께 꽃이나 원형의 무늬 안쪽에 다시 선각(線刻)을 해 세부를 표현하는 모조법(毛彫法)도 나타난다. 이는 조선 말기까지 계속 이어지는 우리나라 나전칠기의 대표적 기법이다.

자개 외에도 금속 선이 사용되는 재료상 특징도 살펴볼 수 있다. 당초무늬의 줄기는 금속 단선(單線)을 사용하고 무늬와 무늬의 경계를 짓는 선에는 2개를 하나로 꼰 선을 사용했다

나전경함에 사용된 금속 선은 0.3㎜ 두께의 환선(環線)으로 형광 X선 성분분석 결과 구리와 아연을 합금한 황동선(黃銅線)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려 나전경함의 목제 백골은 두께 약 1㎝의 곧은결 침엽수 판재로 만들어졌으며 각 연결부에 쇠못을 박아 조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만들어진 목제 백골은 판재의 뒤틀림과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천을 입히고 그 위에 골분(骨粉)을 섞은 골회(骨灰) 옻칠과 검은 옻칠을 여러 번 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제2강의실에서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 부터 기증받은 국보급 문화재 \'고려 나전경함\'을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폭 41.9 X 20.0cm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주며, 각 면의 모서리도 부드럽게 처리되는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2014.07.15. bjko@newsis.com 2014-07-15

고려 나전칠기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천년을 이어 온 빛, 나전칠기’(2006)와 호암미술관 특별전 ‘대고려국보전’(1995)에서 공개된 적이 있지만, 현존 수량도 적고 대부분 국외에 있어 높은 예술적 가치에도 쉽게 감상할 수 없었다.

박물관 측은 “이번 나전경함의 기증으로 고려 시대 나전칠기의 아름다움과 고려 공예미의 극치를 직접 확인해 볼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고려 나전칠기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연구를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앞으로 기증에 따른 유물등록절차를 진행하는 동시에 이른 시일 안에 상설전시실에서 관람객을 맞이할 수 있는 준비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swryu@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