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end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Home
  • News
  • Report

Report

[부산일보] '정유재란' 전모를 살핀다…'정유재란1597' 심포지움

Date
17-10-19 13:10
Hit
1,132
Contents
20171018000142_0.jpg\"
국립 진주박물관(관장 최영창)은 오는 20일 진주박물관 강당에서 \'정유재란 1597\'이라는 주제의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국립 중앙박물관회(회장 김정태)와 공동 주관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이 후원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정유재란 7주갑(420년)을 맞아 오는 10월 22일까지 진주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특별전 <정유재란 1597>과 연계, 기획됐다.

심포지엄은 2부로 구성됐다. 1부는 강화 협상기(1593-1596) 삼국의 전략과 \'정유재란 발발\'이라는 주제로 본격적인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인 강화협상기(1593-1596)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2부는 남원성 전투, 노량해전, 울산왜성 전투, 순천왜성 전투 등 정유재란기(1597-1598) 주요 전투와 관련된 최근 연구 성과들이 발표된다.

정유재란의 전체상을 조명하는 이 심포지엄은 허남린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교수의 \'정유재란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전쟁의 추이와 삼국의 전략구도\'라는 제목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강화교섭과 정유재란 발발(김경태 고려대 코어사업단 연구교수), △정유재란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세판단과 정책(나카노 히토시 일본 규슈대 교수), △정유재란 당시 명의 재정문제(완밍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연구원), △정유재란 발발 후 명군의 전략과 남원성 전투(천상승 중국 산둥대 교수), △노량해전에 대한 몇 가지 이해의 방향(노영구 국방대 교수), △울산성 전투와 울산왜성(나동욱 부산박물관 문화재조사팀장), △고니시 유키나가와 순천성 전투(도리쓰 료지 일본 야쓰시로시 박물관 학예원), △사천왜성으로 본 한일관계(오타 히데하루 일본 가고시마국제대 교수) 등 논문 8편이 발표된다.

주제발표에 이어 기조강연자인 허남린 교수를 좌장으로 김문자 상명대 교수, 이계황 인하대 교수, 조영헌 고려대 교수, 하태규 전북대 교수, 이민웅 해군사관학교 교수, 심광주 LH박물관 관장, 이욱 순천대 교수, 양흥숙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가 토론자로 나서 \'종전 이후 동아시아 삼국의 변화와 연관하여\'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420년 전 동아시아 3국의 국제전쟁인 정유재란의 시작과 전개 그리고 종전에 이르기까지, 정유재란의 전체상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정유재란에 관한 각 분야 전문연구자들이 모여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 및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정유재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전망이다.

특히, 당시 전쟁의 실상과 잔혹한 현실을 단순히 국가 간 전쟁차원이 아닌, 사료의 철저한 검증을 통해 한중일 민중의 삶과 생활에 이르기까지 그 실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심포지엄은 별도의 참가 신청 없이 관심있는 연구자와 일반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고 국립 진주박물관 측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