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공연/전시] '국보급 문화재' 고려나전경함 1점, 800년만에 고국 귀환
관련링크
본문
[공연/전시] \'국보급 문화재\' 고려나전경함 1점, 800년만에 고국 귀환
15:02
등을 담는 함) 한점이 800여년 만에 돌아왔다. 국내에는 현존하는 나전경함이 한 점도 없어 관련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5일 고려시대 나전경함을 (사)국립중앙박물관회로부터 기증받아 공개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나전경함은)
최근에 존재를 확인하고 작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회에서 여러 번 일본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했다\"며 \"올해 국립중앙박물관과의 공동 확인을 거쳐 구입
및 기증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고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을 대표하는 공예품이다. 그러나 고려시대 나전칠기는 전
세계적으로 10여 점 정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나전대모불자가 유일하다. 이 중 나전경함은 모두 8점으로 일본, 미국, 유럽 등의
박물관이나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작품은 9번째다.
|
경함 제작은 1231년 몽고의 침략으로
고려에서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대장경을 만들 당시 불교 경전을 보관용으로 동시에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高麗史)\'에는 고려
원종 13년(1272)에 경함 제작을 담당하는 관청인 \'전함조성도감\'이 설치됐다는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나전경함 크기는
높이 22.6cm, 폭41.9 X 20.0cm, 무게는 2.53kg이다.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인 고려
나전경함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이 나전경함을 장식하고 있는 주무늬는 모란당초무늬이며 부수적으로 마엽무늬, 귀갑무늬, 연주무늬가
사용됐다. 고려 나전경함 중 모란당초무늬가 사용된 경함은 일본 키타무라미술관에 소장된 작품이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경함은 크기, 무늬의 종류와
배치 등이 기타무라미술관 소장품과 거의 일치한다.
|
기법상으로는 얇게 갈아낸 자개를
일일이 무늬대로 오려낸 줄음질 기법이 이용됐으며 마엽무늬와 귀갑무늬는 자개를 가늘게 잘라내어 무늬를 표현하는 끊음질 기법도 보인다. 이와 함께
꽃이나 원형의 무늬 안쪽에 다시 선각해 세부를 표현하는 모조법도 나타난다. 이러한 나전기법은 이후 조선시대 말기까지 계속 이어지는 우리나라
나전칠기의 대표적 기법이다.
자개 외에도 금속선이 사용되는 재료 상 특징도 엿볼 수 있다. 특히 당초무늬의 줄기는 금속 단선,
무늬와 무늬의 경계를 짓는 선에는 2개를 하나로 꼰 선을 썼다. 나전경함에 사용된 금속선은형광X선 성분분석 결과 구리(Cu)와 아연(Zn))을
합금한 황동선이다.
고려 나전칠기는 국립중앙박물관 개최 특별전 “천년을 이어 온 빛, 나전칠기”(2006년) 호암미술관 개최
특별전 “대고려국보전”(1995년)에서 공개된 적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나전경함의 기증으로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아름다움과 고려 공예미의 극치를 직접 확인해 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기증에 따른 유물등록절차를 진행, 빠른 시일 안에 상설전시실에서
관람객을 맞이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