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fnmk 연구강좌 불교미술 강의 안내
관련링크
본문
2013 fnmk 연구강좌 불교미술 강의 안내
1학기
강의주제 : 한국 불상의 독창성과 예술, 美
강 사 : 정은우(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강의소개 : 인도에서 시작된 불상의 기원과 중국 불상의 특징을 개관하고, 이어서 한국 불상의 전래에서부터 조선시대 까지 제작된 불상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 본다. 특히 시대에 따라 나타나는 건칠, 목조, 소조불 등 재료와 기법적 특징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 한국만의 독창성을 고찰한다.
강의일정 : 매주 둘째 넷째주 화요일 오전 10:00~12:00
수강인원 : 100명
강의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1강의실
수 강 료 : 일반회원-30만원 / 기부 특별회원-25만원
강의계획
01강의 인도와 중국의 불교조각
불상의 시원과 도상 성립, 중국으로의 전파개관
02강의 불교의 전래와 삼국시대의 불상
삼국시대 불상의 유입과 불상의 특징
03강의 통일신라의 불상과 조각가 양지
통일신라초기 조각가 양지와 그 작품
04강의 석굴암과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불상
8세기- 9세기 불교조각의 특징
05강의 고려시대의 불상 1: 강건미와 신도상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 개관과 고려전기에 유행한 장대한 크기와 새로운 형식의 석불들과 철불들
06강의 고려시대의 불상: 화려한 장식과 기법
중국 송으로부터 유입되어 성립하는 새로운 장식기법을 한 불상들
07강의 고려후기 불상: 다양성과 아름다움
고려후기의 불상 가운데 전통적인 불상과 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새로운 티베트 불교와 관련된 불상들
08강의 건칠불상의 제작기법과 특징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립되고 유행하는 건칠불상의 제작기법과 그 특징
09강의 조선시대 불상의 제작기법과 특징
조선시대에 유행하는 목불과 소조불의 제작기법과 특징, 왕실 제작 불상의 특징과 중요성 등
참고문헌
1) 김리나, 정은우 외, 한국불교미술사, 미진사, 2011
2) 정은우, 고려후기 불교조각 연구, 문예출판사, 2007
3) 정은우, 불상의 미소, 보림출판사, 2008
2학기
강의주제 : 한국의 불교 사원과 미술
강 사 : 이강근(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강의소개 :
한국 불교사원을 대상으로 ‘건축과 미술의 관계’를 장엄의 관점에서 감상하는 안목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함.
10강의 석굴건축의 東傳과 경주 토함산 석굴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과 한국에 전해져 번창한 석굴사원의 역사를 조망하고 이를 토대로 토함산 석굴의 의의를 해석함.
11강의 가람의 東傳과 경주 불국사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과 한국에 전해져 번창한 가람의 역사를 조망하고 이를 토대로 불국사 가람의 의의를 해석함.
12강의 사리의 東傳과 양산 통도사(佛寶 종찰)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과 한국에 전해진 불사리가 불탑, 계단, 사리각, 적멸보궁 등으로 봉안, 신앙된 과정을 조망함.
13강의 불경의 東傳과 합천 해인사(法寶 종찰)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전해지고, 이후 한역되어 한국에 전해진 경전이 가람 안에서 어떻게 신앙되고 전승되었는지 조망.
14강의 석탑, 석등, 石經의 開花; 구례 화엄사
장륙전과 석경/석탑과 석등
15강의 승원의 형성과 순천 송광사(僧寶 종찰)
Vihara vs. Caitya / Temple vs. Monastry
16강의 불탑의 東傳과 법주사 팔상전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전해진 뒤 고층누각식 건물로 변화, 발전된 불탑이 한국 목탑의 구조와 장엄에 미친 역사 조망.
참고문헌
1) 이강근, 17세기 佛殿의 장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2) 문명대 외, 토함산 석굴 불상, 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3) 문명대, 한국의 불화, 일지사, 1977
4) 최완수, 명찰순례 1,2,3, 대원사, 1994
5)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사찰 1-12, 일지사, 1978
6) 대원사 간행, 불교사찰 시리즈, 대원사
7) 한국문화재대계 국보, 예경산업사, 1986.4 (11. 탑파Ⅰ, 12. 탑파Ⅱ, 13. 석조Ⅰ, 17. 사원건축Ⅰ, 18. 사원건축Ⅱ, 21.궁실건축 Ⅰ, 22.궁실건축 Ⅱ)